안녕하세요. 하교랑모입니다.
어김없이 매년마다 찾아오는 손님이 있죠. 바로 '태풍'입니다. 2023년도 8월에 오는 태풍은 '카눈'이라고 하는데, 처음에는 우리 한반도를 빗겨 일본으로 가나 싶었는데, 아마도 북서쪽으로 방향을 트는 것으로 보아 한반도에 도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은 '카눈'이란 태풍은 어떤 녀석인지, 지금 태풍 카눈의 예상 경로는 어떤지 여러분들에게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카눈이란?
태국에서 잭프루트(Jack fruit)라고 알려진 과일을 '카눈'이라고 부릅니다. 태풍의 이름을 지을 때는 첫 번째 발생한 명칭으로 짓습니다. 그중 우리가 알기 쉬운 단어이거나 발음을 사용한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에는 그 예로 '매미', '장미', '개미' 등이 있습니다.
2. 제6호 카눈 예상 경로
위와 같이 태풍 예상 경로는 서쪽으로 점점 치우치다가 우리나라 한반도를 관통할 거라 예상하고 있습니다. 일본으로 가나 싶었는데, 한반도로 방향을 틀었네요. 이대로 진행된다면 부산과 경남쪽은 태풍에 대비해야 할 것 같습니다.
2023년 8월 8일 9시 기준으로 진행방향은 북서쪽이며, 진행속도는 8km/h입니다. 최대 풍속은 37m/s, 강풍반경은 350Km, 크기는 중형입니다. 하지만 강도는 강인만큼 매우 강한 바람이 불거라 예상하고 있습니다.
3. 태풍 발생 시 행동요령
태풍이 발생하기 전 TV, 라디오, 스마트폰 등에서 태풍이 예보된 때에는 거주 지역에 영향을 주는 시기를 미리 파악하여 이웃과 공유하고, 어떻게 대피할 것인지 생각하고 가족이나 주변에 있는 사람들과 함께 조치를 취하도록 합니다.
3-1. 태풍의 진로 및 도달 시간을 파악한다.
여러분의 인터넷을 이용하여 기상상황을 미리 파악하여 대처 방안을 준비합니다. 스마트폰에 있는 '안전디딤돌'을 통해 재난 정보를 주변 사람들과 공유합니다.
3-2. 산간·계곡, 하천, 방파 등 위험한 지역에서는 주변 사람들과 안전한 곳으로 이동한다.
태풍 발생 시 위험한 지역에서 야영이나 물놀이를 하시는 분들은 일시 중단하고 주변 사람들에게 알려 함께 안전한 곳으로 대피해야 합니다. 저지대나 상습 침수지역, 산사태 위험 지역, 지하 공간이나 붕괴 우려가 있는 건물 등 주변 사람들에게 알려 안전한 곳으로 대피합니다.
3-3. 주택이나 차량, 시설물 등의 보호를 위해 가족이나 지역주민과 함께 준비한다.
태풍이 발생하기 전 바람에 날아갈 위험이 있는 구조물은 미리 결박하고, 창문 틈에 테이프를 붙입니다. 하천이나 해변 주위에 주차된 차량은 안전한 곳으로 이동시키고, 가정의 하수구나 집 주변에 배수구를 미리 점검하고 막힌 곳은 뚫습니다. 침수가 예상되는 아파트 지하주차장이나 건물 등은모래주머니, 물막이 판을 이용해 침수를 예방하도록 준비합니다.
시설 하우스 등 농업 시설물은 버팀목이나 비닐 끈 등으로 단단히 묶고, 농경지는 배수로를 정비하여 피해를 예방해야 합니다. 그리고 선박이나 어망·어구 등은 미리 결박하여 피해를 최소화시키도록 합니다. 지역 주민과 함께 공사장, 축대, 옹벽 등을 미리 점검합니다.
3-4. 가족과 함께 비상용품을 준비하여 재난에 대비한다.
비상시 응급용품은 미리 배낭에 챙기고, 상수도 공급이 중단될 수도 있으니 미리 물을 받아놓으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정전에 대비하여 양초나 비상용 렌턴, 배터리 등을 미리 준비해 줍니다. 그리고 가까운 행정복지센터(주민센터)등의 연락처를 확인합니다.
3-5. 외출은 자제하고 연세 많은 어르신 등은 수시로 안부 확인한다.
약속된 일정은 취소하시는 게 좋으시고, 연세 많으신 어르신, 어린이, 장애인 등은 외출을 하지 않도록 당부하여 수시로 전화 등을 이용하여 안부를 확인합니다.
기상 예보를 수시로 확인하시고, 태풍의 예상 경로가 여러분들이 살고 있는 지역이라면 주변 사람들에게 알려 준비하시길 바랍니다. 부디 아무 피해 없이 경로가 틀어져 무사히 지나갔으면 좋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전 0시 축제 정보 및 일정표 (0) | 2023.08.12 |
---|---|
반려견 등록 집중 단속 과태료 최대 100만원(유기동물 현황, 내장칩, 외장칩) (0) | 2023.08.08 |
2023년 배스킨라빈스 가격 인상 (0) | 2023.08.06 |
소방서 옆 경찰서 그리고 국과수 정보 및 등장인물 소개 (0) | 2023.08.05 |
장마 더위 온열질환자 속출 폭염 시 행동요령 (0) | 2023.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