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

고양이 사료 AI 검출, AI 정의/증상/발생/원인

하교랑모 2023. 8. 4. 14:42

안녕하세요. 하교랑모입니다.

 

이번에 고양이 AI로 인해 많은 반려묘가 피해를 보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은  AI는 무엇인지, 고양이 AI 발생과 고양이 AI 원인이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AI 정의 및 증상

환경부, H7N9 바이러스 전자현미경 사진

 

AI라 하면 많은 사람들이 조류 인플루엔자(AI)를 많이 들어보셨을 거라 생각합니다.

 

고병원성 인플루엔자(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HPAI)는 세계보건기구(OIE)에서 위험도가 높아 관리대상 질병으로 지정한 급성 전염병입니다. 1995년 영국(스코틀랜드)에서 처음으로 H5 혈청형 닭에서 고병원성을 유발하는 사실이 확인되었고, 그 후로 계속해서 HPAI 발생 사례가 증가하고 있었습니다.

 

주로 조류에게 많이 나타나며, HPAI에 감염된 조류는 급성 호흡기 증상을 보이며, 전염병이 매우 높아 100% 폐사시킵니다. 그리고 AI는 인수공통감염병으로 2003년 이후 H5N1형 인플루엔자에 감염된 사람이 100명을 넘었었고, 그중 반 이상이 사망했습니다. 

 

 

2. 고양이 AI 발생

 

지난 2016년 포천에서 고양이 AI에 감염된 사례가 있었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에서는 서울특별시 관악구 소재 동물보호시설의 고양이에게서 H5N1형의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가 확진되었다고 밝혔습니다.

 

해당 고양이는 호흡기 증상 등을 보이며 병원에 내원하였고, 진료 중 폐사하여 동물병원장이 농림축산검역본부에 신고하였습니다. 그리고 검사해 본 결과 2023년 7월 31일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로 최종 확인되었습니다.

 

접촉자 조사를 한 결과 별다른 유증상자는 없으며, 10일간 증상 발생 여부를 집중 관찰한다고 합니다. 

 

3. 고양이 AI 원인

고양이 AI의 원인은 고양이 사료 업체의 멸균·살균을 이행하지 않은 채 반려동물 사료를 제조한 게 원인이었습니다. 해당 사료를 만든 업체는 경기 김포시에 위치한 '네이처스로우'입니다. 

 

밸런스드 덕/ 밸런스드 치킨

 

위의 두 제품은 5월 25일부터 멸균 처리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았다고 밝혀졌습니다. 이 두 종류의 사료를 먹였다면, 고양이 AI를 의심해 봐야 할 것 같습니다. 

 

해당 사료는 3200여 개가 판매되었고, 구매자는 212명으로 서울 70명, 경기 67명, 경북 13명, 인천 11명, 경남 9명, 충남 8명, 대구 6명, 전남 6명, 부산·전북·강원 각 5명, 충북 3명, 울산 2명, 광주와 대전 각 1명입니다. 해당 업체는 이력 정보를 통해 해당 제품을 구매한 소비자들에게 회수·폐기 안내하고, 제품을 직접 수거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4. 생활 속 조류인플루엔자 인체감염 예방(농림축산식품부)

  • 손을 자주 씻고, 손으로 눈, 코, 입을 만지는 것을 피합니다.

- AI는 주로 감염된 조류 등의 분변, 분변에 오염된 물건 및 사체 등을 손으로 접촉한 후에 눈, 코, 입 등을 만졌을 때, 바이러스가 전파될 수 있습니다. 

- 드물지만 오염된 먼지의 흡입을 통한 감염도 가능합니다.

 

  • 야생조류, 가금류, 고양이 등 사체에 접촉하지 않습니다.

- 건강 상태를 확인하기 어려운 야생 조류 및 길고양이일 경우 사체, 분변 등을 만져서는 안 되며 가급적 접촉을 피하시길 바랍니다.

  • 가정 내에서 고양이나 새를 키우는 경우는 조류인플루엔자에 감염될 가능성이 사실상 낮습니다.

- 그러나 이 경우에도 고양이 등에게 활동량 저하·많은 양의 침 흘림, 기침과 재채기, 숨 가쁨 및 신경학적 증상 등이 나타날 경우, 마스크·장갑 등 보호장비를 착용하여 접촉하고 직접적인 접촉은 금지하여 주시길 바랍니다. 

 

  • 국내·외 조류 인플루엔자 발생시설 및 지역 등에 방문하여 동물과의 접촉 후 10일 이내 발열, 기침, 인후통 등 호흡기 증상이 발생하면 즉시 관할 보건소 또는 질병관리청 콜센터(1339)로 신고하시길 바랍니다. 

- 호흡기 증상이 있는 경우는 마스크를 쓰시고, 기침, 재채기를 할 경우에는 휴지로 입과 코를 가리고 하시길 바랍니다.

 


 

호흡기 증상 등 조류인플루엔자 감염이 의심되는 동물이 있을 경우, 가축방역 당국(1588-4060, 1588-9060)으로 신고해 주시길 바랍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